브랜드 콜라보 계약이란? – 기본 구조와 실무상 체크포인트 정리

요즘 다양한 산업에서 브랜드 간 협업(콜라보레이션, 이하 ‘콜라보’)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패션 브랜드와 식음료 기업, IT 기업과 아티스트, 뷰티 브랜드와 K-POP 아티스트 등 콜라보의 조합은 점점 다양해지고 있고, 그만큼 계약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브랜드 콜라보 계약의 일반적인 구조, 핵심 조항, 실무상 주의할 점 등을 법률적 시각에서 정리해보겠습니다.
Jiae Kim's avatar
Jul 07, 2025
브랜드 콜라보 계약이란? – 기본 구조와 실무상 체크포인트 정리

1. 브랜드 콜라보 계약의 목적

브랜드 콜라보 계약은 보통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고 체결됩니다.

  • 상호 브랜드 가치 상승: 각자의 브랜드 이미지와 고객층을 공유해 시너지를 창출

  • 제품/서비스 공동 개발 및 출시: 양사의 IP(상표, 디자인, 저작물 등)를 활용해 한정판 상품 등을 공동 제작

  • 공동 마케팅 및 프로모션: 양사 간 공동 캠페인을 통한 시장 확대


2. 콜라보 계약의 주요 구성요소

일반적으로 브랜드 콜라보 계약에는 다음과 같은 조항들이 포함됩니다.

라이선스 부여 (License Grant)

  • 어느 한쪽이 자신의 상표, 디자인, 이미지, 아티스트 등을 상대방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 내용

  • 사용 범위(제품 종류, 지역, 채널 등) 및 기간을 명확히 해야 분쟁 소지를 줄일 수 있습니다.

독점 여부 (Exclusivity)

  • 특정 지역 또는 제품군에 대한 독점권을 부여할 것인지 여부

  • 예: ‘한국과 일본 내 독점 유통권’, ‘온라인 채널에 한정한 비독점적 판매’ 등

매출 또는 로열티 정산 구조

  • 상품 판매로 인한 수익 배분 구조를 명시

  • 예: 순매출의 일정 비율을 로열티로 지급하거나, 사전 공급가 설정 후 정산

브랜드/제품 사용 방식

  • 상표 및 디자인의 적용 방식(제품 패키지, 광고, SNS 등)에 대한 사전 협의 및 승인 요건

  • 아티스트 이미지 사용 시 초상권 및 명예권 보호 필요

계약기간 및 종료 조항

  • 계약의 기본 유효기간 및 조기 종료 사유(위반, 파산, 이미지 훼손 등) 명시

  • 종료 시 남은 재고 처리, 마케팅 자산 처리 방안도 함께 규정 필요


3. 실무상 주의할 점

‘서로의 브랜드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합의

  • 제품 외형, 광고 문구, 이미지 위치, 홍보 대상 등 세부 사항까지 합의하는 것이 분쟁을 예방합니다.

KPI(성과 기준) 및 공급 의무 조항

  • 공급사 측이 최소 판매량 또는 광고 노출 등의 KPI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해지 가능하도록 설정

  • 가격 인상 또는 시장 변화 시 KPI 조정 조항도 중요

계약 종료 이후 상표/이미지 사용 금지

  • 계약 종료 후에도 상대 브랜드의 로고, 이미지 등을 계속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속 조항 필요

도덕적 해이 방지 조항

  • 한쪽 당사자의 평판 훼손, 사회적 논란 등 발생 시 계약 종료 가능하게 하는 ‘평판 조항(Morality Clause)’도 유용


4. 콜라보 계약 체결 전 체크리스트

항목

체크 내용

IP 범위

사용할 상표, 이미지, 디자인 범위가 명확한가?

권리 귀속

공동 개발된 상품의 저작권/디자인권은 누구에게 귀속되는가?

승인 프로세스

제품 디자인, 광고 콘텐츠 승인 과정이 명확한가?

분쟁 해결 방식

계약상 분쟁이 발생했을 때의 관할 법원 또는 중재기관은?

보안 및 비밀유지

콜라보 내용이 공개되기 전 NDA 체결 여부


결론

브랜드 콜라보는 단기적인 마케팅 효과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신규 시장 진출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성공적인 콜라보는 단순한 기획이 아니라, 명확하고 세심한 계약을 기반으로 합니다.

콜라보를 계획 중이라면, 반드시 지식재산권과 계약 실무에 정통한 전문가와의 협의를 거쳐 계약을 체결하시기를 권합니다.

Share article

Legal Strategy by 김지애 변호사